이집트 미라란 무엇인가?
고대 이집트에서는 영혼불멸사상에 따라 시신에는 혼이 깃들어 있다고 믿어 이를 보존하는 것이 고인의 내세에 중요하다고 여겼다. 이러한 이유로 미라를 만들었는데 아스텍문명, 잉카 제국 등에서도 미라화 의식이 있었다. 이러한 신앙과 의식은 특히 이집트에서 성행했으며, BC 2600년 경부터 그리스도교 시대에 이르기까지 계속되었다. 그 밖의 고대 민족이나 근대 미개사회 등에서도 미라화 의식을 찾아볼 수 있으며, 현재 발굴되는 미라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미라를 만드는 과정은 시기와 지역에 따라 매우 다양한데, 주로 장기 처리, 송진 등의 약물 처리, 붕대 감기 등이 널리 사용되었다. 한편, 파푸아 뉴기니나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는 산 사람이 서서히 미라화 되며 죽어가는 수행 방법이 존재했었다. 멕시코나 중남미 지방은 고온 및 건조한 온도와 그 밖의 조건으로 천연적인 미라를 만들었다. 동아시아에서도 다양한 지역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된 미라가 출토되었으며, 한국의 파평 윤 씨 가문 묘지 이장작업 중 발견된 여성 미라는 공기가 통하지 않는 묘지 구조로 인해 자연적으로 형성된 미라이다. 그러나 고대의 미라는 근·현대의 미라와는 달리 뛰어난 영술·주력·위력·무력 등을 가졌던 자의 시체를 보존하면 그의 힘이 사후에도 머물러 있게 되어 자기들을 보호한다는 신앙 때문이었다. 이러한 모든 토착신앙이 미라를 만드는 요인이 되었다.
미라는 전세계에 분포되어 있으나, 기후의 건조도나 더위가 수분 제거를 위해 필요한 조건이기 때문에 미라는 북방문화 계통에는 드물고 주로 남방문화 계통에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집트의 미라 제작은 일찍부터 발달하여 3,000년 이상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 가장 먼저 만들어진 것은 제2왕조 시대의 미라이다. 그 후 고왕조시대에 들어와서는 제작기술이 더욱 발달하여 내장을 처리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중왕조시대부터는 고인의 얼굴 모습을 전하기 위하여 얼굴 모양을 본뜬 마스크를 만들어 두부에 부착시켰다. 그 밖에도 이집트에서는 성수숭배사상이 성하여, 개·고양이·말·뱀·매·학 등 그들이 신성시하는 조수나 물고기 등을 미라로 만들기도 하였다.
미라 제작 과정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토스가 BC 5세기 중반 이집트를 방문한 뒤 그의 저서 ‘역사’제2권에 기술한 내용으로, 이는 현대의 과학적 검증을 거쳐 사실에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신의 미라 처리는 나일강 서안에서 행해졌는데, 이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해가 지는 방향인 서쪽을 죽음과 연관시켜 생각했기 때문이다. 나일강 서안으로 옮겨진 시신은 나일강의 물로 씻겨졌으며, 이는 죽은 자의 영혼의 부활과 영생을 의미했다. 정결해진 시신에는 방부 처리의 일종으로 향유 또는 향료가 발라졌다. 방부 처리가 끝난 시신에서 뇌를 제거하고, 심장을 제외한 간, 허파, 위, 장을 분리해 낸다. 분리된 장기는 소다수 등에 의해 각기 방부처리 되거나 건조된 뒤 아마포에 싸여 각각 작은 관에 담아 용기에 보관된다. 파라오 제18 왕조 이후는 호루스의 네 아들을 상징하는 사람, 자칼, 매, 원숭이 형상으로 뚜껑이 장식된 4개의 용기가 장기 보관에 사용되었다. 장기를 꺼낸 시신 안에는 나트론으로 알려진 자연산 방부염을 헝겊에 싸 채워 넣고, 작은 구멍을 뚫어 사체에서 나오는 체액이 밖으로 빠져나오도록 했다. 또한 완전한 탈수를 위해서 사체 외부에는 소다수를 발랐다. 이러한 방부처리 과정은 약 70일가량 소요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방부처리가 끝나고 완전히 건조된 미라를 나일 강물에 씻어내어 각종 향신료를 바른 뒤, 오늘날 발굴되는 것과 같은 형태로 아마포 붕대를 감는다. 약 20겹을 붕대로 감으면 미라는 거의 생전의 몸집으로 커지며, 붕대의 맨 끝에 죽은 자의 이름을 쓰고 시기에 따라 얼굴 부분에 마스크를 씌우기도 하며, 전신에 송진을 입힌 붕대를 다시 한번 감아야 작업이 끝난다. 이렇게 완성된 미라는 인체모양, 직육면체 등 다양한 모양의 관에 안치됐다. 관의 외면은 죽은 사람의 영생을 기원하는 기도문과 주술 등으로 화려하게 꾸며졌다. 미라와 모든 부장품이 무덤에 도착하면 사제는 마지막으로 개구의식을 거행했는데, 이 의식으로 눈·코·입·수족 등의 기능이 되살아나서 죽은 자가 다시 말하고 다시 먹을 수 있게 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전시정보
< 이집트 미라전 : 부활을 위한 여정 > 은 2022년 12월15일 부터 2023년 3월 26일까지 서울 예술의 전당 서예박물관 실험 전시실과 현대전시실에서 전시됩니다. 관람시간은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이며 입장 마감은 오후 6시까지입니다. 또한 매주 월요일은 휴관입니다. 전시장 내에 개인도슨트는 불가능하며 전시장 오디오 가이드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인간과 동물의 미라, 미라관, 사자의 서, 파피루스 등의 이집트 유물 약 250여 점을 역대 최대 규모의 컬렉션으로 전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번 전시회는 한국이집트학연구소의 자문을 받아 전시되었습니다. 현재 주중 관람객 선착순 100명에게 스티커와 엽서를 제공하는 이벤트를 하고 있으니 참여하신다면 더욱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내실 수 있습니다. 이번 이집트 미라전은 오픈 전부터 인기를 얻었는데 가장 큰 이유가 실제 인간미라 5구와 동물미라 8구와 그들의 최신 CT결과를 공개하기 때문입니다. 약 250점의 유물전시뿐만 아니라, 왜 고대 이집트인들이 내세에 그렇게나 집착했는지를 비록 해 고대 이집트 사람들의 생활상도 같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컴퓨터 단층 촬영인 CT스캔으로 촬영한 미라 및 유물의 내부 모습을 국내 최초로 공개하며 3D 터치 스크린으로 직접 미라의 비밀을 탐험할 수 있는 관람객 참여형 전시까지 생생한 지식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베일에 싸여있던 고대 이집트 문명을 처음 만난 유럽인들의 심정이 어땠을지 이번 전시에서 느낄 수 있으며 이집트 문명과 사랑에 빠진 유럽인들처럼 그 역사에 감동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